[공부 시간 기록/개발일지] (3) DTO, VO, ??? 그럼 DDD끼리 데이터 교환은? 아니 그전에 동기 비동기가 뭔지부터 알아야지
Project : 공부 시간 기록/개발일지2025. 4. 17. 22:52[공부 시간 기록/개발일지] (3) DTO, VO, ??? 그럼 DDD끼리 데이터 교환은? 아니 그전에 동기 비동기가 뭔지부터 알아야지

1. 이번엔 또 뭔데?앞서서 나는 WakaTime에서 access토큰을 받아오고 저장하는 모듈을 만들었다. 이모듈은 access토큰을 받아오고 저장하는 단일 기능역할을 수행할 것임으로 access토큰을 사용해서 사용자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모듈을 다른 모듈이 될것이다.자 그럼 이런 방식에서 고민해야하는것이 뭘까? 그럼 뿌려주는 방식이 뭘까? 라는 물음에서 시작됐다.(DB설계는 다했는데 이거 고민하느라 데이터 저장은 시작도 못한것은 비밀)2. 아직 통신방식은 안정했다. 물론 넘겨줄 데이터 형식도 안정했다. 통신방식은 아직 정하지 않았다. 이유는? 어떤 객체? 데이터 형식?을 넘겨줄지 정하지 않았는데 무작정 통신 방식을 정한다? 이것도좀그렇고.. 그래서 같이 비교해보려고한다. 어떤 통신법에서 어떤 방식으로 넘..

[공부 시간 기록/개발일지] (2) DDD? (내 방식대로 해보기)
Project : 공부 시간 기록/개발일지2025. 4. 6. 21:27[공부 시간 기록/개발일지] (2) DDD? (내 방식대로 해보기)

1. DDD를 왜 사용하냐구?뭔가 나는 나중에 이 프로젝트를 가지고 내가 공부한걸 적용시켜보고싶다 Jpa도 연결해보고 mybatis도 써보고 이런식으로 여러개를 레고블럭 끼웠다 빼듯이 사용할수 있는 아키텍처 구조를 사용하고 싶다.📌Domain Layermodel 핵심 객체가 들어감 domain에서 가장 중요한 녀석repository도메인 입장에서의 저장소 추상화. 저장소를 추상화 했기때문에 저장소가 달라져도 구현체만 변경하면 된다.📌Application Layerservice도메인 로직을 조합하고 유스케이스를 실행하는 계층 인터페이스라서 구현체만 변경하는 방식📌Infrastructure Layerexternal외부 시스템과 통신하는 곳. Oauth나 controller 혹은 이벤트 발행등이 여기에 ..

728x90
반응형
im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