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cker/기초] Docker-compose 명령어 & 설치 (4)
Deployment/Docker 기초2024. 12. 5. 14:45[Docker/기초] Docker-compose 명령어 & 설치 (4)

이번글의 docker 실행 방식은 다음을 따른다.DockerFile을 만들어서 커스텀 Dockerfile 만들기이떄 기본 이미지를 dockerhub에서 받아오고 커스터마이징 한다.1번에서 만든 Dockerfile을 사용해서 docker-image 빌드하기network 설정 추가 알아보기docker-compose 명령어이번글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4번이다.기조적인 docker 명령어는 다음 글에 정리되어 있으니 확인하자 [Docker/기초] Docker 커맨드, 옵션 정리도커 커맨드의 구조 docker {상위 커맨드} {하위 커맨드} {옵션} {대상} {인자} 도커의 명령 구조는 이런식으로 작성된다. 그럼 더 자세한 설명을 들어보자 도커의 상위 커맨드에 따른 하위 커맨드naturecancoding.tisto..

[Docker/기초] Docker 네트워크 (3)
Deployment/Docker 기초2024. 12. 5. 14:16[Docker/기초] Docker 네트워크 (3)

이번글의 docker 실행 방식은 다음을 따른다.DockerFile을 만들어서 커스텀 Dockerfile 만들기이떄 기본 이미지를 dockerhub에서 받아오고 커스터마이징 한다.1번에서 만든 Dockerfile을 사용해서 docker-image 빌드하기network 설정 추가 알아보기docker-compose 명령어이번글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3번이다.1, 2 번의 글을 선행학습 해야 보기 편할 것이다. [Docker/기초] Docker-comopse 파일 만들기 (version 3) (2)이번글의 docker 실행 방식은 다음을 따른다.DockerFile을 만들어서 커스텀 Dockerfile 만들기이떄 기본 이미지를 dockerhub에서 받아오고 커스터마이징 한다.1번에서 만든 Dockerfile을 사..

[Docker/기초] Docker-comopse 파일 만들기 (version 3) (2)
Deployment/Docker 기초2024. 12. 5. 13:54[Docker/기초] Docker-comopse 파일 만들기 (version 3) (2)

이번글의 docker 실행 방식은 다음을 따른다.DockerFile을 만들어서 커스텀 Dockerfile 만들기이떄 기본 이미지를 dockerhub에서 받아오고 커스터마이징 한다.1번에서 만든 Dockerfile을 사용해서 docker-image 빌드하기network 설정 추가 알아보기docker-compose 명령어이번글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2번이다.1번을 보고싶은 경우 여기로 이동하면 된다. [Docker/기초] Docker File 만들기 (1)이번글의 docker 실행 방식은 다음을 따른다.DockerFile을 만들어서 커스텀 Dockerfile 만들기이떄 기본 이미지를 dockerhub에서 받아오고 커스터마이징 한다.1번에서 만든 Dockerfile을 사용해서 docker-imagenaturec..

[Docker/기초] Docker File 만들기 (1)
Deployment/Docker 기초2024. 12. 5. 13:06[Docker/기초] Docker File 만들기 (1)

이번글의 docker 실행 방식은 다음을 따른다.DockerFile을 만들어서 커스텀 Dockerfile 만들기이떄 기본 이미지를 dockerhub에서 받아오고 커스터마이징 한다.1번에서 만든 Dockerfile을 사용해서 docker-image 빌드하기network 설정 추가 알아보기docker-compose 명령어이번글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1번이다.1. Dockerfile 만들어서 커스텀 Dockerfile 만들기Docker Hub 이미지를 받아와서 커스터마이징 하기Dockerfile을 커스터마이징 할때 기본적인 image파일은 dockerhub를 통해서 받아오는 것이 편리하다. 직접 만들어도되지만 이미 사람들이 만들어둔 파일을 사용하는 것도 좋다.From베이스 이미지를 설정한다.# Step 1: 베..

[Docker/기초] Volume
Deployment/Docker 기초2024. 2. 15. 20:45[Docker/기초] Volume

Volume 즉 볼륨이라는 것은 스토리지의 한 영역을 분할 하는 것을 말한다. Docker에서는 컨테이너에서 지워지면 안되는 것들 (ex. DB에 저장된 내용들)을 컨테이너가 아닌 외부에 저장해서 컨테이너가 업데이트 등을 위해서 지워져도 데이터는 지워지지 않도록 하는 기능이다. Mount? 연결하다라는 의미 그대로 Volume을 컨테이너에 연결하는 과정을 말한다. 그리고 이렇게 Volume을 둬서 데이터를 컨테이너 밖에서 안전하게 보관하는 것이 Data Persistency(데이터 지속성)라고 한다. Volume Mount Vs Bind Mount 마운트의 종류는 크게 2가지가 있다.(메모리 마운트인 tmpfs가 있지만 다루지 않겠다.) 항목 Volume Mount Bind Mount 스토리지 영역 도커..

[Docker/기초] Docker 상위 커맨드 ls 정리
Deployment/Docker 기초2024. 2. 14. 15:47[Docker/기초] Docker 상위 커맨드 ls 정리

도커 상위 커맨드 ls 정리 docker containter ls docker image ls docker volume ls docker network ls 위 4개의 명령어를 입력했을때 나오는 값들에 대해서 알아보자 -a를 옵션으로 입력하면 전체를 볼 수 있다. 1. container docker container ls 항목 내용 CONTAINER ID 컨테이너의 고유 ID를 나타낸다 IMAGE 이 컨테이너가 어떤 IMAGE를 가지고 생성됐는지 알려준다 COMMAND 컨테이너가 실행중인 명령어 CREATED 컨테이너가 생성된 시간 STATUS 컨테이너의 현재 상태 PORTS 컨테이너아 호스트 간의 포트 매핑 정보 컨테이너내부 포트와 호스트 포트를 연결해 외부와 통신할 수 있게 해주는다. NAMES 컨테..

728x90
반응형
im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