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lworld/서버 구동] 팔월드 멀티 서버 값 변경(docker,googlecloud) (3)](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bMViO8%2FbtsDXBgPNhm%2FArcE4rXDQYBi6VTLDhIgf1%2Fimg.png)
팔월드 서버를 한번 켜보자
친구들이랑 같이 게임하고 싶어 사설서버 열라니 컴퓨터 계속 켜놔야한다는게 싫은 사람을 위해서 글을 작성한다.
가상 컴퓨터를 만들어 그곳에서 서버를 키고 우리는 사용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즉 다음 방식으로 만들면 컴퓨터를 항상 킬 필요가 없다.
무료 크래딧 만큼 서버를 킬수 있다.(무료 크래딧다 사용시 서버 사용 불가하다.)
사진이 좀 많아서 그렇지 천천히 따라오면 충분히 다 할만하다.
천천히 따라와도 10분도 안걸린다.
PalWorld 서버 만들기

- google VM(가상머신) 만들어서 키기
- docker에서 1번에서 만든 가상머신 사용하기
- 만약 필요하다면 서버 설정값 변경하기
이렇게 블로그글을 따라와 주면 된다.
1 번을 안했다면
https://naturecancoding.tistory.com/71
[Palworld/서버 구동] 팔월드 서버 24시간 열기 (컴퓨터 안켜놔도 서버 켜짐) (2)
팔월드 서버를 한번 켜보자 친구들이랑 같이 게임하고 싶어 사설서버 열라니 컴퓨터 계속 켜놔야한다는게 싫은 사람을 위해서 글을 작성한다. 가상 컴퓨터를 만들어 그곳에서 서버를 키고 우리
naturecancoding.tistory.com
2 번을 안했다면
https://naturecancoding.tistory.com/70?category=1200384
3. 서버 설정 값들 변경하기
좀더 나만을 위한 서버를 만들고 싶다면 서버의 설정 값들을 변경할 수 있다.

내가 혼자 게임할때 이렇게 WORLD SETTING을 할수 있지 않는가?
근데 이걸 공용 서버에서도 변경할 수 있다.
1. 우분투 접속

다시한번더 SSH로 들어간다.
일단 서버가 실행되고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sudo docker ps를 입력한다.
8211 같은 것들이 막 나오면 서버가 실행중인거고 안나온다면
sudo docker start palworld-server로 실행해준다.

sudo docker exec -it palworld-server /bin/bash
를입력해 지금 실행중인 컨테이너로 들어간다.

apt-get update
를 입력해서 업데이트 한다

cd /palworld/Pal/Saved/Config/LinuxServer/
이렇게 입력해서 설정파일이 있는 곳으로 간다.

chmod 777 ./*
를 입력해서 지금 디렉토리안에 있는 파일들의 권한을 얻은 후

apt-get install vim을 입력해서 에디터를 설치한다
y/n가 나오면 y를 입력한다.

vi PalWorldSettings.ini
이렇게 입력해서 설정 파일을 연다.

이런 화면이 나올텐데 이제 vi 에디터 사용 방법을 알려주겠다.
(만약 아무것도 안나온다면 명령어 잘못입력한거니까 다시 입력하자)
i 를 누르면 입력을 할 수 있다. 이를통해서 원하는 값을 변경해주면된다.
변경을 다했다면 esc키를 누르고
:wq를 입력해서 저장하고 나가면 된다.
만약 잘못입력해서 저장하기 싫다면
:q를 입력하면 된다.
값들의 뜻은 다음과 같다
비율일경우 높은수록 많은거
감소 비율일 경우 낮아질수록 감소가 덜되는 식이다
Difficulty | 난이도(None,Casual,Nomal,Hard 순서) |
DayTimeSpeedRate | 주간 시간 속도 비율(0.1~5) |
NightTimeSpeedRate | 야간 시간 속도 비율 (0.1~5) |
ExpRate | 경험치 비율 (0.1~520) |
PalCaptureRate | Pal 포획 비율 (0.5~2) |
PalSpawnNumRate | Pal 출현 비율 (0.5~3) |
PalDamageRateAttack | Pal로부터 받는 공격 피해 배율 (0.1~5) |
PalDamageRateDefense | Pal에게 입히는 공격 피해 배율 (0.1~5) |
PlayerDamageRateAttack | 플레이어로부터 받는 공격 피해 배율 (0.1~5) |
PlayerDamageRateDefense | 플레이어에게 입히는 공격 피해 배율 (0.1~5) |
PlayerStomachDecreaseRate | 플레이어의 배고픔 감소 비율 (0.1~5) |
PlayerStaminaDecreaseRate | 플레이어의 스태미너 감소 비율 (0.1~5) |
PlayerAutoHPRegenRate | 플레이어의 자동 HP 재생 비율 (0.1~5) |
PlayerAutoHPRegenRateInSleep | 플레이어의 수면 중 자동 HP 재생 비율 (0.1~5) |
PalStomachDecreaseRate | Pal의 배고픔 감소 비율 (0.1~5) |
PalStaminaDecreaseRate | Pal의 스태미너 감소 비율 (0.1~5) |
PalAutoHPRegenRate | Pal의 자동 HP 재생 비율 (0.1~5) |
PalAutoHPRegenRateInSleep | Pal의 수면 중 자동 HP 재생 비율 (0.1~5) |
BuildObjectDamageRate | 건물에 입히는 피해 배율 (0.5~3) |
BuildObjectDeteriorationDamageRate | 건물 노화 속도 배율 (0~10) |
CollectionDropRate | 수집 가능 아이템 배율 (0.5~3) |
CollectionObjectHpRate | 수집 가능한 물체의 HP 배율 (0.5~3) |
CollectionObjectRespawnSpeedRate | 수집 가능한 물체의 리스폰 속도 배율 (0.5~3) |
EnemyDropItemRate | 적이 드롭하는 아이템 배율 (0.5~3) |
DeathPenalty | 죽을 때의 패널티 설정 (None, Item, ItemAndEquipment, All) |
GuildPlayerMaxNum | 길드 최대 플레이어 수(1~100) |
PalEggDefaultHatchingTime | 대형 알의 부화 시간 (시간)(0~240) |
ServerPlayerMaxNum | 서버 최대 참여 플레이어 수(최대 32) |
ServerName | 서버 이름 |
ServerDescription | 서버 설명 |
AdminPassword | 관리자 비밀번호 |
ServerPassword | 서버 비밀번호 설정(아직 비밀번호 입력창구현 안되서 사용하지 말길 바람) |
PublicPort | 공개 포트 번호 |
PublicIP | 공개 IP 주소 |
RCONEnabled | RCON 활성화 여부 |
RCONPort | RCON 포트 번호 |
이제 다됐다
exit을 입력해서 나간다.

sudo docker stop palworld-server
sudo docker start palword-server
를 둘다 차례대로 입력해서 서버를 껏다가 켜주면 적용이 될것이다!
이제 재미있게 하면된다.
'Deployment > Palworld' 카테고리의 다른 글
[Palworld/서버 이사] 팔월드 서버 옮겨 가기(2)(docker,googlecloud) (1) | 2024.02.26 |
---|---|
[Palworld/서버 이사] 팔월드 서버 옮겨 가기(1)(docker,googlecloud) (0) | 2024.02.26 |
[Palworld/서버 구동] 팔월드 멀티 업데이트(docker,googlecloud) (4) (1) | 2024.01.26 |
[Palworld/서버 구동] 팔월드 서버 24시간 열기 (컴퓨터 안켜놔도 서버 켜짐) (2) (1) | 2024.01.25 |
[Palworld/서버 구동] 팔월드 서버 24시간 열기 (컴퓨터 안켜놔도 서버 켜짐) (1) (1) | 2024.01.25 |
Coding, Software, Computer Science 내가 공부한 것들 잘 이해했는지, 설명할 수 있는지 적는 공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