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abase/기초] Database](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cLNGHS%2FbtsHYcXTZYk%2F9uJiRqCQ9ThlHHySMajvt1%2Fimg.png)
[Database/기초] DatabaseDatabase/Database 기초2024. 1. 16. 21:06
Table of Contents
728x90
반응형
1. Database란?
데이터들의 집합을 말한다. 효율적으로 저장, 검색, 갱신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데이터 집합이다.
2. 데이터베이스의 기본 개념
- 장점:
데이터의 중복을 최소화
데이터의 일관성 및 무결성 유지
데이터 보안 보장 - 단점:
운영비가 비싸다. Oracle같은 경우 유료 데이터 관리하는 인력또한 운영비
백업 및 복구에 대한 관리가 복잡
부분적 데이터 베이스 손실이 전체 시스템을 정지할 수 있음
3. 데이터베이스 특징
- 실시간 접근성(Real-time Accessabllity)
사용자의 요구를 즉시 처리할 수 있다. - 계속적인 변화(Continuous Evolution)
정확한 값을 유지하려고 삽입-삭제-수정 작업 등을 이용해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갱신할 수 있다. - 동시 공유성(ConcurrentSharing)
사용자마다 서로 다른 목적으로 사용하므로 동시에 여러 사람이 동일한 데이터에 접근하고 이용할 수 있다. - 내용 참조(Content Reference)
저장한 데이터 레코드의 위치나 주소가 아닌 사용자가 요구하는 데이터의 내용, 값에 따라 참조할 수 있어야 한다.
4.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DBMS)
- DBMS: Database Management System의 약자이며 데이터 베이스를 관리하는 소프트웨어이다.
- 여러 소프트웨어또는 시스템이 동시에 데이터 베이스에 접근 가능하게 해준다.
- 필수기능이 3가지가 있다.
정의 기능 : 데이터 베이스의 논리적 물리적 구조를 정의한다.
조작 기능: 데이터를 검색, 삭제, 갱신, 삽입. 삭제하는 기능이다.
제어 기능: 데이터 베이스의 내용 정확성과 안전성을 유지하도록 제어아하는 기능이다. - Oracle, MySQL, MariaDB등이 있다.
5. 데이터베이스 종류
- 관계형 데이터 베이스:
테이블 형태의 데이터구조가 정해져 있어서 정해진 방식으로만 데이터를 저장 가능하다.
SQL(Structured Query Language)를 사요애서 데이터를 쿼리하고 조작한다.
값을 빠른 속도로 access할수 있다.
MySQL, PostgreSQL, Oracle 등이 있다. - NoSQL 데이터 베이스:
비관계형 데이터 모델을 사용해서 데이터 마다 다른 방식으로 값을 저장할 수 있다.
문서형, 키-값, 그래프등 다양한 방식으로 값 저장 가능하다.
관계형 데이터 베이스에 비해서 속도가 느리다.
MongoDB(문서), Redis(키-값) 등이 있다. - ETC:
문서형, 열지향. 시계열. 메모리 데이터 베이스 등이 있다.
728x90
반응형
'Database > Database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Database/SQL] SQL 코딩 테스트 대비 문법, 함수 완벽 정리 (4) | 2024.09.11 |
---|
@코딩하는 자연대생 :: 자연대생도 코딩을 하고 싶어
Coding, Software, Computer Science 내가 공부한 것들 잘 이해했는지, 설명할 수 있는지 적는 공간